-
[ 목차 ]
2025년 9월에 신청할 수 있는 청년정책을 정리했습니다. 취업, 주거, 창업, 생활 지원까지 확인하세요.
빠르게 청년정책을 원하시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취업 지원 정책
2025년 9월에는 청년내일채움공제(개편형) 3차 모집이 시작됩니다.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은 최대 3년간 본인 적립금과 정부 지원금을 합쳐 최대 1,200만 원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또한 K-디지털 트레이닝이 9월에 새롭게 오픈되며, AI·데이터·클라우드 등 IT 분야 교육과정이 제공됩니다.
참여 청년은 훈련 수당과 수료 후 취업 연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주거 지원 정책
청년 월세 특별지원 2025년 2차 모집이 9월에 진행됩니다.
만 19세~34세 청년 중 독립 거주자라면 월 최대 30만 원, 최대 2년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국토부와 지자체가 공급하는 청년 역세권 임대주택 신청도 9월에 열리며, 서울·경기·부산 등 주요 도시에서 신청 접수가 시작됩니다.
창업 지원 정책
9월에는 청년 창업도약 패키지 공모가 본격화됩니다.
혁신 아이디어를 가진 청년 창업자는 최대 1억 원의 지원금과 함께 멘토링·마케팅·해외 판로 개척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2025년은 디지털 전환과 친환경 산업이 중점 분야로, 해당 영역 창업자는 가산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금융·생활 지원 정책
2025년 9월부터는 청년 교통비 지원 확대 정책이 적용되어, 청년은 월 최대 6만 원까지 교통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청년 통신비 절감 바우처 신청도 같은 달에 오픈되며, 소득 하위 50% 청년은 월 2만 원의 통신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금융위원회가 시행하는 청년 신용회복 지원 프로그램이 9월에 새롭게 접수되며, 기존 채무를 감면하거나 저리로 재조정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대부분의 청년 정책은 청년정책포털(온통청년)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단, 일부 지역별 주거 정책이나 교통비·통신비 지원은 각 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담당 부처 사이트를 통해 신청해야 합니다.
청년정책포털 바로가기
신청 기간은 한정적이며 경쟁률이 높기 때문에 반드시 공고일을 확인하고, 사전에 필요 서류를 준비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